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윈도우 디펜더 끄기 5초 완성 누구나 가능

by saimdangwithu 2020. 10. 20.
반응형

윈도우 디펜더 끄기 5초 완성

윈도우 디펜더 끄기 쉽게 따라하기



윈도우 디펜더 끄기 순서

 1. [windows 보안] 

 2.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3.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4. [설정 관리] 

 5. [실시간 보호] 

 6. [끔]



윈도우 디펜더 끄기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보안] 

윈도우 디펜더 끄기 작업을 위해 우선 [windows 보안]으로 이동하도록 하겠습니다. 하단에 돋보기 모양이 있는 검색창에 '보안'이라고만 적어 넣으셔도 바로 뜨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2.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Windows 보안으로 이동한 화면입니다. '보안 한 눈에 보기'라고 되어 있는 메뉴의 창으로서 여기에서 보안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원하는 것은 윈도우 디펜더 끄기 작업 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 필요한 메뉴로 이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방패 모양의 파란색 테두리 우측 하단에 노란색 세모 모양 안에 검은색 느낌표로 그려진 그림이 보이실텐데요.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메뉴로서 랜섬웨어 공격이 들어오면 파일 복구 옵션으로 OneDrive 설정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곳으로 이동하겠습니다. 


3.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로 이동하시면 그 안에 다시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4. [설정 관리]

윈도우 디펜더 끄기 작업의 실질적인 수행을 위해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하단에 파란색 글씨로 적혀진 [설정 관리]로 이동하시겠습니다. 



5. [실시간 보호]

[설정 관리]로 들어오시면 맬웨어를 찾고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거나 실행 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설명과 함께 '실시간 보호'가 파란색으로 '켬'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6. [끔]

윈도우 디펜더 끄기 작업을 원하신다면 '켬' 상태만 '끔'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은 실시간 보호를 [끔] 상태로 전환한 모습입니다. 이렇게 하면 윈도우 디펜더 끄기 작업이 최종적으로 완료되게 됩니다. 


하지만 빨간색 밑줄에 적힌내용을 보면 이 기능을 꺼버리면 디바이스가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고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급적 켜두는 것이 바람직하긴 합니다.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만드는 회사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안랩입니다. 그런데 사실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도 백신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간과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윈도우 디펜더가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백신 프로그램으로 이전에는 MS 시큐리티 이센셜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호칭을 바꿔 윈도우 디펜더라고 부르고 있고 윈도우 10에 기본 옵션으로 들어가 있는 백신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했다는 부분만 들어도 상당히 괜찮은 보안프로그램 이라는 것을 쉽게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도 이름만 대면 알만한 웬만한 백신 프로그램과 비교했을 때 보안 능력이 으뜸입니다. 

불안하시면 따로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셔도 나쁠 것은 없지만 윈도우 디펜더 만으로도 충분한 보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별도로 백신 프로그램이 윈도우 10에 설치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10에 미리 탑재되어 있는 디펜더가 자동으로 기능을 하게되어 PC를 악성코드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대로 백신을 설치하게 되면 다른 백신 프로그램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윈도우 디펜더가 비활성화 됩니다. 


예를들어 개별적으로 설치한 백신프로그램이 유료 였는데 사용기간이 만료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때 이것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했어도 디펜더는 자동으로 유료 백신프로그램 사용 만료로 인한 보안 기능의 공백을 막기위해 스스로 작동하여 PC를 보호해줍니다. 


디펜더의 역할은 악성코드로 부터 PC를 보호하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가짜 백신 프로그램도 잡아내는 기능도 하고 있습니다.


가짜 백신프로그램이란 실제로는 바이러스를 막아내기는 커녕 찾아내는 역할도 못하는 함량 미달의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돈을 벌기위해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구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좋은 역할만 하는 윈도우 디펜더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탕화면 우측 하단을 보시면 활성화 되어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림을 보시면 방패 모양이 있고 노란색 삼각형 바탕에 느낌표가 보이시나요? 이런 그림이 있다면 현재 윈도우 디펜더가 작동하고 있는 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내주는 표시입니다.



다음으로 보여드리는 아래 그림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표시해주는 그림입니다. 방패모양이 있는 것은 동일한데 우측 하단에 빨간색 원 테두리에 하얀색 X 표시가 보이시나요? 이런 그림이 나타나 있다면 윈도우 디펜더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입니다. 



윈도우 디펜더가 CPU 점유율을 많이 먹어버린다는 이유로 끄실 수도 있는데 좋은 기능도 많이 하고 있으니 개인적인 사용상의 자유이지만 다른 보안프로그램이 없다면 켜 놓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반응형